[90일 완성! 일본어 문법 완전 초보 시리즈] #3. 조사의 세계 ①: は(와), が(가), を(를) 차이점

🍑 이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!

✔ 일본어의 조사가 헷갈리는 분
✔ 조사(は, が, を)의 정확한 쓰임을 알고 싶은 분
✔ 일본어 문장을 자연스럽게 쓰고 싶은 분

일본어에서 조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같은 단어를 사용하더라도 조사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이죠.

이번 편에서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조사인 は(와), が(가), を(를)의 차이를 설명하겠습니다.

📌 は(와)와 が(가)의 차이

일본어에서 は(와)が(가)는 모두 주어를 나타내는 조사이지만, 그 쓰임새가 다릅니다.

  • は(와): 주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. 대체로 문장의 주제나 배경을 설명할 때 쓰입니다.
    예) わたしは学生です. → 저는 학생입니다.
  • が(가): 주어가 특정 사실이나 행동을 할 때 사용됩니다. 주로 동사의 주체를 나타냅니다.
    예) わたしが行きます。→ 제가 갑니다.

まとめ: - は(와)는 문장에서 주제를 나타내며, 문장 전체에서 "이 주제에 대해 말하고 있다"는 느낌을 줍니다.

- が(가)는 특정한 행동이나 상태의 주체를 강조합니다.

📌 を(를)의 쓰임

일본어에서 を(를)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.

영어에서의 “을/를”에 해당하는 역할을 하죠. 예를 들어, “사과를 먹다”라는 문장에서 “사과”는 동사의 목적어입니다.

📝 예문:
わたしはりんごたべます。
→ 저는 사과를 먹습니다.

여기서 を(를)는 동사 “たべます” (먹다)의 목적어인 “りんご” (사과)에 붙어서 문장을 완성시킵니다.

を(를)는 항상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, "무엇을?"이라는 질문에 답하는 역할을 합니다.

📌 まとめ: 각 조사의 차이점

- は(와):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, 문장의 배경이나 맥락을 제공. - が(가): 동작의 주체를 나타내는 조사, 특정 행위의 주체를 강조. - を(를): 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내는 조사.

🌱 Tip!
일본어 문장에서 조사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면, 문장이 훨씬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됩니다.

📌 오늘의 정리

  • は(와)는 문장의 주제나 배경을 나타냅니다.
  • が(가)는 특정 행동의 주체를 나타냅니다.
  • を(를)는 동사의 목적어를 나타냅니다.
  • 조사의 쓰임을 정확히 이해하면 일본어 문장이 자연스럽고 명확해집니다.